창세기 33장

창세기 33장은 야곱과 형 에서가 오랜 시간의 갈등과 두려움 끝에 다시 만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야곱은 형 에서를 속이고 도망친 후, 두려움과 불안을 안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이 장에서는 두 형제가 여러 해의 긴장과 오해를 딛고 화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야곱은 가족과 재산을 앞세워 조심스럽게 에서를 맞이하며, 극도의 경계와 겸손을 보입니다. 에서는 예상과 다르게 야곱을 따뜻하게 맞이하고, 두 사람은 서로 끌어안고 울며 재회합니다. 그 뒤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가지만, 용서와 화해의 울림이 장 전체에 흐릅니다.
1절야곱이 눈을 들어 보니 에서가 사백 인을 거느리고 오는지라 그 자식들을 나누어 레아와 라헬과 두 여종에게 맡기고
2절여종과 그 자식들은 앞에 두고 레아와 그 자식들은 다음에 두고 라헬과 요셉은 뒤에 두고
3절자기는 그들 앞에서 나아가되 몸을 일곱 번 땅에 굽히며 그 형 에서에게 가까이 하니
4절에서가 달려와서 그를 맞아서 안고 목을 어긋맞기고 그와 입맞추고 피차 우니라
5절에서가 눈을 들어 여인과 자식들을 보고 묻되 너와 함께한 이들은 누구냐 야곱이 가로되 하나님이 주의 종에게 은혜로 주신 자식이니이다
6절때에 여종들이 그 자식으로 더불어 나아와 절하고
7절레아도 그 자식으로 더불어 나아와 절하고 그 후에 요셉이 라헬로 더불어 나아와 절하니
8절에서가 또 가로되 나의 만난 바 이 모든 떼는 무슨 까닭이냐 야곱이 가로되 내 주께 은혜를 입으려 함이니이다
9절에서가 가로되 내 동생아 내게 있는 것이 족하니 네 소유는 네게 두라
10절야곱이 가로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형님께 은혜를 얻었사오면 청컨대 내 손에서 이 예물을 받으소서 내가 형님의 얼굴을 뵈온즉 하나님의 얼굴을 본 것 같사오며 형님도 나를 기뻐하심이니이다
11절하나님이 내게 은혜를 베푸셨고 나의 소유도 족하오니 청컨대 내가 형님께 드리는 예물을 받으소서 하고 그에게 강권하매 받으니라
12절에서가 가로되 우리가 떠나가자 내가 너의 앞잡이가 되리라
13절야곱이 그에게 이르되 내 주도 아시거니와 자식들은 유약하고 내게 있는 양 떼와 소가 새끼를 데렸은즉 하루만 과히 몰면 모든 떼가 죽으리니
14절청컨대 내 주는 종보다 앞서 가소서 나는 앞에 가는 짐승과 자식의 행보대로 천천히 인도하여 세일로 가서 내 주께 나아가리이다
15절에서가 가로되 내가 내 종자 수인을 네게 머물리라 야곱이 가로되 어찌하여 그리하리이까 나로 내 주께 은혜를 얻게 하소서 하매
16절이 날에 에서는 세일로 회정하고
17절야곱은 숙곳에 이르러 자기를 위하여 집을 짓고 짐승을 위하여 우릿간을 지은 고로 그 땅 이름을 숙곳이라 부르더라
18절야곱이 밧단아람에서부터 평안히 가나안 땅 세겜 성에 이르러 성 앞에 그 장막을 치고
19절그 장막 친 밭을 세겜의 아비 하몰의 아들들의 손에서 은 일백 개로 사고
20절거기 단을 쌓고 그 이름을 엘엘로헤이스라엘이라 하였더라
장의 주요 내용 요약
- 야곱의 준비: 야곱은 가족을 순서대로 세워, 만남에 대한 두려움과 신중함을 보입니다.
- 에서의 반응: 예상보다 따뜻하게 야곱을 맞이하며, 원한 대신 화해와 포용을 선택합니다.
- 화해와 선물: 야곱은 재산을 나눠주며 화해의 표시를 하고, 에서는 그것을 사양하지만 결국 일부를 받습니다.
- 각자의 길: 화해 후 야곱과 에서는 각자 다른 길을 선택하며, 야곱은 세겜 땅에 정착합니다.
본문의 의미와 메시지
이 장은 인간 사이의 오해와 두려움, 그리고 화해와 용서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누구나 실수와 잘못으로 인해 관계가 단절될 수 있지만, 진심어린 겸손과 용서를 통해 회복의 길이 열릴 수 있음을 말합니다. 야곱의 두려움과 준비, 에서의 넓은 마음은 모두 화해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묵상포인트
- 내 삶에 미뤄둔 용서와 화해의 대상은 누구인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 과거의 두려움이나 상처가 현재의 관계를 막고 있지 않은지 묵상할 수 있습니다.
- 야곱과 에서처럼, 상대와의 재회나 화해 과정에서 나의 마음가짐은 어떠한지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용기 내어 먼저 손을 내밀거나, 겸손히 다가가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 관계 속에서 생긴 오해와 상처를 대화와 용서로 풀어가고자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봅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