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서 5장

에스더서 5장은 에스더가 민족의 위기 앞에서 용기 있게 왕 앞에 나아가는 모습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장은 긴장감 속에서 에스더의 결단과 지혜, 그리고 하나님께 드린 금식 후의 행동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보여줍니다.
1절제 삼 일에 에스더가 왕후의 예복을 입고 왕궁 안뜰 곧 어전 맞은편에 서니 왕이 어전에서 전 문을 대하여 보좌에 앉았다가
2절왕후 에스더가 뜰에 선 것을 본즉 심히 사랑스러우므로 손에 잡았던 금홀을 그에게 내어미니 에스더가 가까이 가서 금홀 끝을 만진지라
3절왕이 이르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원이 무엇이며 요구가 무엇이뇨 나라의 절반이라도 그대에게 주겠노라
4절에스더가 가로되 오늘 내가 왕을 위하여 잔치를 베풀었사오니 왕이 선히 여기시거든 하만과 함께 임하소서
5절왕이 가로되 에스더의 말한 대로 하도록 하만을 급히 부르라 하고 이에 왕이 하만과 함께 에스더의 베푼 잔치에 나아가니라
6절잔치의 술을 마실 때에 왕이 에스더에게 이르되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시행하겠노라
7절에스더가 대답하여 가로되 나의 소청, 나의 요구가 이러하니이다
8절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고 왕이 내 소청을 허락하시며 내 요구를 시행하시기를 선히 여기시거든 내가 왕과 하만을 위하여 베푸는 잔치에 또 나아오소서 내일은 왕의 말씀대로 하리이다
9절이 날에 하만이 마음이 기뻐 즐거이 나오더니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있어 일어나지도 아니하고 몸을 움직이지도 아니하는 것을 보고 심히 노하나
10절참고 집에 돌아와서 사람을 보내어 그 친구들과 그 아내 세레스를 청하여
11절자기의 부성한 영광과 자녀가 많은 것과 왕이 자기를 들어 왕의 모든 방백이나 신복들보다 높인 것을 다 말하고
12절또 가로되 왕후 에스더가 그 베푼 잔치에 왕과 함께 오기를 허락받은 자는 나밖에 없었고 내일도 왕과 함께 청함을 받았느니라
13절그러나 유다 사람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은 것을 보는 동안에는 이 모든 일이 만족하지 아니하도다
14절그 아내 세레스와 모든 친구가 이르되 오십 규빗이나 높은 나무를 세우고 내일 왕에게 모르드개를 그 나무에 달기를 구하고 왕과 함께 즐거이 잔치에 나아가소서 하만이 그 말을 선히 여기고 명하여 나무를 세우니라
에스더의 위험한 결단과 왕의 처소로 나아감
에스더는 금식이 끝난 후 왕의 궁전 안 뜰에 섭니다. 고대 페르시아의 법에 따르면 왕이 부르지 않은 자가 왕 앞에 나아가면 죽음을 당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에스더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왕 앞으로 나아갑니다. 왕이 금홀을 내미는 장면은 에스더의 용기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으로, 운명의 전환점을 마련합니다.
에스더의 첫 번째 잔치와 지혜로운 접근
에스더는 자신의 부탁을 바로 말하지 않고, 오히려 왕과 하만을 위한 잔치에 초대합니다. 그리고 잔치 자리에서도 다시 한 번 잔치에 초대함으로써, 자신의 요청을 미루면서도 관심을 끌고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이를 통해 에스더는 신중함과 지혜를 보여줍니다.
하만의 교만과 불만
하만은 왕과 함께 에스더의 잔치에 초대받은 것을 큰 영광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궁중문에서 자신에게 절하지 않는 모르드개를 보고 분노합니다. 하만은 아내와 친구들의 조언을 받아 모르드개를 달아 죽이기 위한 장대를 세웁니다. 이는 하만의 교만과 악한 의도를 보여줍니다.
묵상포인트
- 에스더의 용기와 지혜는 우리에게 위기 속에서 신중하게 행동하는 법을 생각하게 합니다.
- 하나님의 백성이 위기 앞에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신앙과 삶의 자세를 묵상해 볼 수 있습니다.
- 하만의 태도를 통해, 타인의 인정이나 자기중심적인 마음이 어떻게 잘못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는 중요한 결정 앞에서 얼마나 용기 있게, 그리고 신중하게 행동하는가?
- 나의 이기심이나 교만이 아닌, 지혜와 사랑으로 상황에 임하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습니다.
- 위기나 두려움 앞에서 나의 행동과 태도를 점검하며, 내가 의지할 근원이 어디인지 생각해 보기 바랍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