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에스더서 4장

말씀 개요

에스더서 4장은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위기 가운데 중요한 결단을 내리는 순간을 다룹니다. 하만의 계략으로 유다인이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이 소식을 전하고,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가 도움을 청하도록 요청합니다.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대화, 에스더의 망설임과 결단, 금식 요청 등이 이 장의 주된 내용을 이룹니다.

1모르드개가 이 모든 일을 알고 그 옷을 찢고 굵은 베를 입으며 재를 무릅쓰고 성중에 나가서 대성 통곡하며

2대궐 문 앞까지 이르렀으니 굵은 베를 입은 자는 대궐 문에 들어가지 못함이라

3왕의 조명이 각 도에 이르매 유다인이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곡읍하며 부르짖고 굵은 베를 입고 재에 누운 자가 무수하더라

4에스더의 시녀와 내시가 나아와 고하니 왕후가 심히 근심하여 입을 의복을 모르드개에게 보내어 그 굵은 베를 벗기고자 하나 모르드개가 받지 아니하는지라

5에스더가 왕의 명으로 자기에게 근시하는 내시 하닥을 불러 명하여 모르드개에게 가서 이것이 무슨 일이며 무슨 연고인가 알아보라 하매

6하닥이 대궐 문 앞 성중 광장에 있는 모르드개에게 이르니

7모르드개가 자기의 당한 모든 일과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려고 왕의 부고에 바치기로 한 은의 정확한 수효를 하닥에게 말하고

8또 유다인을 진멸하라고 수산 궁에서 내린 조서 초본을 하닥에게 주어 에스더에게 뵈어 알게 하고 또 저에게 부탁하여 왕에게 나아가서 그 앞에서 자기의 민족을 위하여 간절히 구하라 하니

9하닥이 돌아와 모드드개의 말을 에스더에게 고하매

10에스더가 하닥에게 이르되 너는 모르드개에게 고하기를

11왕의 신복과 왕의 각 도 백성이 다 알거니와 무론 남녀하고 부름을 받지 아니하고 안뜰에 들어가서 왕에게 나아가면 오직 죽이는 법이요 왕이 그 자에게 금홀을 내어 밀어야 살 것이라 이제 내가 부름을 입어 왕에게 나아가지 못한지가 이미 삼십 일이라 하라

12그가 에스더의 말로 모르드개에게 고하매

13모르드개가 그를 시켜 에스더에게 회답하되 너는 왕궁에 있으니 모든 유다인 중에 홀로 면하리라 생각지 말라

14이 때에 네가 만일 잠잠하여 말이 없으면 유다인은 다른 데로 말미암아 놓임과 구원을 얻으려니와 너와 네 아비 집은 멸망하리라 네가 왕후의 위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아느냐

15에스더가 명하여 모르드개에게 회답하되

16당신은 가서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밤낮 삼 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 나도 나의 시녀로 더불어 이렇게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17모르드개가 가서 에스더의 명한 대로 다 행하니라

본문의 흐름과 구조

  • 1-3절: 모르드개와 유다인들의 슬픔과 애통 - 모르드개는 하만의 명령을 듣고 굵은 베옷을 입고 성 안에서 통곡하며, 각 지방의 유다인들도 금식하며 애통합니다.
  • 4-9절: 에스더의 반응과 모르드개의 소식 전달 - 에스더가 모르드개의 행동을 듣고 근심하며 전갈을 보내자, 모르드개는 유다인들의 위기 상황을 설명합니다.
  • 10-12절: 에스더의 두려움 - 에스더는 왕에게 나아간다면 목숨을 잃을 수 있음을 말하며 두려움을 표현합니다.
  • 13-17절: 모르드개의 믿음과 에스더의 결단 -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생각하라 권면하고, 에스더는 사흘간 금식한 후 죽음을 각오하고 왕 앞에 나아가겠다고 결단합니다.

전체 의미와 메시지

에스더서 4장은 인간적인 두려움과 책임, 그리고 신뢰와 결단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위기 속에서 모르드개는 하나님의 섭리를 신뢰하며 에스더에게 용기를 북돋웁니다. 에스더 또한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자각하고, 공동체와 함께 금식을 선포하며 하나됨과 기도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장은 위기 속에서 신앙과 소명의식을 지키는 태도가 어떠해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묵상포인트

  • 위기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니다.
  • 두려움 속에서도 신념과 공동체를 위한 결단이 필요할 때, 내가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지 묵상해봅니다.
  • 기도와 금식, 공동체의 연대가 갖는 의미를 다시 돌아봅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는 내 삶의 자리에서 두려움과 책임 사이에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돌아봅니다.
  • 공동체의 문제와 아픔에 대해 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하나님 앞에 어떤 결단을 내릴 수 있는지 적용해봅니다.
  • 지금 나의 삶에 '이 때'라는 의미와 소명을 발견하고 있는지, 그 부름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지 생각해봅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