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3장

고린도전서 13장은 바울이 '사랑'의 본질과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시작합니다. 12장에서 다양한 은사에 대해 언급한 후, 은사나 재능, 열심이 아무리 커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점을 밝힙니다. 즉, 외적인 능력보다 내면의 사랑이 우선임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1절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2절내가 예언하는 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것도 아니요
3절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4절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5절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하며
6절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7절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8절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하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
9절우리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
10절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11절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렸노라
12절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 것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13절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사랑의 특성
- 인내하고 친절함: 사랑은 오래 참고, 온유합니다.
- 자신을 내세우지 않음: 시기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교만하지 않습니다.
- 예의와 이타성: 무례하지 않으며,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습니다.
- 용서와 절제: 쉽게 성내지 않고,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 진리와 연대: 불의를 기뻐하지 않으며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 포용과 믿음: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고,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딥니다.
사랑의 영원성
바울은 사랑이 다른 은사들(예언, 방언, 지식 등)을 능가하는 덕목임을 강조합니다. 이 은사들은 부분적이거나 일시적인 것이지만, 사랑만은 영원하다고 설명합니다. 모든 인간적 한계와 불완전함 속에서도 사랑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완전함을 향한 길
불완전함 | 완전함 |
---|---|
어린아이의 모습, 지금은 부분적임 | 장성한 사람, 온전히 깨닫는 것(얼굴과 얼굴을 마주함처럼) |
바울은 지금의 모습이 '부분적'임을 인정함과 동시에, '완전함'이 올 때 모든 것이 온전해질 것임을 희망적으로 밝힙니다. 즉, 사랑이 인간의 한계조차 넘어선 완전함의 세계로 인도함을 시사합니다.
묵상포인트
- 나의 말과 행동, 능력이 진정한 사랑에서 출발하고 있는가?
- 사랑의 15가지 특성 중 오늘 나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 은사와 열정보다 먼저 점검해야 할 '사랑'의 진정성을 돌아볼 때 내 삶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
나에게 적용해보기
고린도전서 13장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매일의 삶에 살아 움직이는 원리로 삼을 수 있습니다. 하루를 시작하거나 마무리할 때 본문의 사랑의 특성을 차분히 하나씩 점검해보세요. 내가 먼저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 용서, 친절이 오늘 하루에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