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바냐서 2장

스바냐서 2장은 선지자 스바냐를 통해 임박한 심판의 메시지와 회개의 촉구, 그리고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선언이 담겨 있습니다. 이 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절에서 3절까지는 유다 백성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말씀이고, 4절에서 15절까지는 팔레스타인 주변 이방 민족(블레셋, 모압, 암몬, 구스, 앗수르)에 대한 심판의 예언이 이어집니다.
1절수치를 모르는 백성아 모일지어다 모일지어다
2절명령이 시행되기 전, 광음이 겨같이 날아 지나가기 전, 여호와의 진노가 너희에게 임하기 전, 여호와의 분노의 날이 너희에게 이르기 전에 그러할지어다
3절여호와의 규례를 지키는 세상의 모든 겸손한 자들아 너희는 여호와를 찾으며 공의와 겸손을 구하라 너희가 혹시 여호와의 분노의 날에 숨김을 얻으리라
4절가사가 버리우며 아스글론이 황폐되며 아스돗이 백주에 쫓겨나며 에그론이 뽑히우리라
5절해변 거민 그렛 족속에게 화 있을진저 블레셋 사람의 땅 가나안아 여호와의 말이 너희를 치나니 내가 너를 멸하여 거민이 없게 하리라
6절해변은 초장이 되어 목자의 움과 양 떼의 우리가 거기 있을 것이며
7절그 지경은 유다 족속의 남은 자에게로 돌아갈지라 그들이 거기서 양 떼를 먹이고 저녁에는 아스글론 집들에 누우리니 이는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가 그들을 권고하여 그 사로잡힘을 돌이킬 것임이니라
8절내가 모압의 훼방과 암몬 자손의 후욕을 들었나니 그들이 내 백성을 훼방하고 스스로 커서 그 경계를 침범하였느니라
9절그러므로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하노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장차 모압은 소돔 같으며 암몬 자손은 고모라 같을 것이라 찔레가 나며 소금 구덩이가 되어 영원히 황무하리니 나의 끼친 백성이 그들을 노략하며 나의 남은 국민이 그것을 기업으로 얻을 것이라
10절그들이 이런 일을 당할 것은 교만하여 스스로 커서 만군의 여호와의 백성을 훼방함이니라
11절여호와가 그들에게 두렵게 되어서 세상의 모든 신을 쇠진케 하리니 이방의 모든 해변 사람들이 각각 자기 처소에서 여호와께 경배하리라
12절구스 사람아 너희도 내 칼에 살륙을 당하리라
13절여호와가 북방을 향하여 손을 펴서 앗수르를 멸하며 니느웨로 황무케 하여 사막같이 메마르게 하리니
14절각양 짐승이 그 가운데 떼로 누울 것이며 당아와 고슴도치가 그 기둥 꼭대기에 깃들일 것이며 창에서 울 것이며 문턱이 적막하리니 백향목으로 지은 것이 벗겨졌음이라
15절이는 기쁜 성이라 염려 없이 거하며 심중에 이르기를 오직 나만 있고 나 외에는 다른 이가 없다 하더니 어찌 이같이 황무하여 들짐승의 엎드릴 곳이 되었는고 지나가는 자마다 치소하여 손을 흔들리로다
1~3절: 회개와 겸손의 요구
스바냐는 유다 백성에게 심판 전에 스스로를 돌아보고, 하나님을 찾으며, 겸손과 공의를 추구할 것을 촉구합니다. 이는 '진노의 날'에 피할 길이 오직 회개와 겸손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당장 현실의 위협 앞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며 바른 길로 돌이키라는 긴박한 메시지입니다.
4~15절: 이방 민족에 대한 심판
이 부분은 유다를 둘러싼 여러 이방 민족에 대해 구체적으로 심판이 선포됩니다. 4~7절에서는 블레셋(서쪽), 8~11절에서는 모압과 암몬(동쪽), 12절에서는 구스(남쪽), 13~15절에서는 앗수르와 그 수도 니느웨(북쪽)가 등장합니다. 이 민족들은 유다를 괴롭히거나, 하나님을 대적했던 민족입니다. 심판의 예언 안에는 하나님께서 온 열국을 다스리며, 교만과 불의에 대해 공의롭게 응답하신다는 메시지가 담깁니다.
전체 구조와 흐름
- 도입(1~3절): 유다의 회개와 겸손 촉구
- 심판 선언(4~15절): 네 방향(서, 동, 남, 북)을 따라 이방 민족 심판
이 구조는 하나님의 심판이 개인, 공동체, 그리고 세계로 점차 확장되어 적용됨을 보여줍니다. 또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아래 모든 민족이 있음을 강조하며, 유다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가 하나님의 뜻 앞에 서야 함을 시사합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은 죄에 대해 반드시 심판하시지만, 동시에 겸손과 회개를 통해 피할 길도 마련하십니다.
- 심판은 특정 민족 만이 아닌, 모든 불의한 세력과 개인을 향한 하나님의 공의의 현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매일의 삶에서 겸손히 자신을 돌아보고, 하나님 앞에 바른 마음과 행동을 추구하고 있는지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 내 주변의 사람들과 사회에서 하나님의 공의와 긍휼이 나타나도록, 내가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사랑과 정의는 무엇인지 생각해 봅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