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12장

사사기 12장은 입다의 사사직 마지막 부분과 더불어, 그의 죽음 이후에 이스라엘을 다스렸던 세 사사-입산, 엘론, 압돈에 대한 짧은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다와 에브라임 지파 사이의 내전, 그리고 짧게 언급된 세 사사들의 사역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연합과 분열, 그리고 리더십의 한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1절에브라임 사람들이 모여 북으로 가서 입다에게 이르되 네가 암몬 자손과 싸우러 건너갈 때에 어찌하여 우리를 불러 너와 함께 가게 하지 아니하였느냐 우리가 반드시 불로 너와 네 집을 사르리라
2절입다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와 나의 백성이 암몬 자손과 크게 다툴 때에 내가 너희를 부르되 너희가 나를 그들의 손에서 구원하지 아니한 고로
3절내가 너희의 구원치 아니하는 것을 보고 내 생명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건너가서 암몬 자손을 쳤더니 여호와께서 그들을 내 손에 붙이셨거늘 너희가 어찌하여 오늘날 내게 올라와서 나로 더불어 싸우고자 하느냐 하고
4절입다가 길르앗 사람을 다 모으고 에브라임과 싸웠더니 길르앗 사람들이 에브라임을 쳐서 파하였으니 이는 에브라임의 말이 너희 길르앗 사람은 본래 에브라임에서 도망한 자로서 에브라임과 므낫세 중에 있다 하였음이라
5절길르앗 사람이 에브라임 사람 앞서 요단 나루턱을 잡아 지키고 에브라임 사람의 도망하는 자가 말하기를 청컨대 나로 건너게 하라 하면 그에게 묻기를 네가 에브라임 사람이냐 하여 그가 만일 아니라 하면
6절그에게 이르기를 십볼렛이라 하라 하여 에브라임 사람이 능히 구음을 바로 하지 못하고 씹볼렛이라면 길르앗 사람이 곧 그를 잡아서 요단 나루턱에서 죽였더라 그 때에 에브라임 사람의 죽은 자가 사만 이천 명이었더라
7절입다가 이스라엘 사사가 된 지 육 년이라 길르앗 사람 입다가 죽으매 길르앗 한 성읍에 장사되었더라
8절그의 뒤에는 베들레헴 입산이 이스라엘의 사사이었더라
9절그가 아들 삼십과 딸 삼십을 두었더니 딸들은 타국으로 시집보내었고 아들들을 위하여는 타국에서 여자 삼십을 데려왔더라 그가 이스라엘 사사가 된 지 칠 년이라
10절입산이 죽으매 베들레헴에 장사되었더라
11절그의 뒤에는 스불론 사람 엘론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어 십 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더라
12절스불론 사람 엘론이 죽으매 스불론 땅 아얄론에 장사되었더라
13절그의 뒤에는 비라돈 사람 힐렐의 아들 압돈이 이스라엘의 사사이었더라
14절그에게 아들 사십과 손자 삼십이 있어서 어린 나귀 칠십 필을 탔었더라 압돈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된 지 팔 년이라
15절비라돈 사람 힐렐의 아들 압돈이 죽으매 에브라임 땅 아말렉 사람의 산지 비라돈에 장사되었더라
입다와 에브라임의 분쟁
입다는 큰 위기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브라임 지파는 전쟁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출합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집화 간에 갈등이 고조되고, 결국 무력 충돌로 번집니다. 이 과정에서 '쉽볼렛'이라는 단어의 발음으로 동족을 식별하여 죽이는 장면이 인상적으로 등장합니다(6-7절). 이는 이스라엘 내부의 분열과 신뢰 부족, 갈등의 심각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입다 이후의 세 사사
입다 이후, 입산, 엘론, 압돈 세 사사가 차례로 이스라엘을 다스립니다(8-15절). 이들은 출신 지역과 후손 등 간략한 기록만 남겨 두고 있는데, 그들의 사역이나 업적은 자세히 소개되지 않습니다. 이는 지도자 개개인의 위대함보다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계속해서 인도해 가셨음을 강조하는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구조와 흐름
- 1-7절: 입다와 에브라임의 갈등과 전투,
입다의 죽음 - 8-15절: 입산, 엘론, 압돈의 사역과 죽음 간략 소개
전체적으로 내적 분열(갈등)과 짧은 평화의 교체가 드러나며, 신실한 공동체 유지의 어려움이 부각됩니다.
묵상포인트
- 갈등이 반복되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주목해 봅니다.
동족 간의 오해와 불신, 그리고 언어라는 매개를 통한 구분의 아이러니함은 공동체의 연합과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되새기게 합니다. -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개인의 능력만으로 완전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움을 깨닫게 해줍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 스스로도 내 주변의 오해와 갈등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점검해 봅니다.
- 하나님께서 나와 우리 공동체의 중심이 되는지를 돌아보고, 평화와 화해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