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수아 17장

여호수아 17장은 요셉 지파, 즉 므낫세와 에브라임의 땅 분배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특히 므낫세 반 지파가 요단 강 서쪽에서 받은 유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1-6절에서는 므낫세 자손의 족보와 그들의 여러 가족에 속한 자손들이 언급되고, 슬로브핫의 딸들이 모세에게 받은 약속대로 아버지의 기업을 분배받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7-13절에서는 므낫세가 받은 땅의 구체적인 경계와 지역이 열거되고, 그 땅에 거주한 토착민들과의 관계(그들을 완전히 쫓아내지 않음)도 언급됩니다. 마지막 14-18절에서는 요셉 자손이 자신들의 분깃이 너무 작다고 불평하자, 여호수아가 그들의 믿음과 행함을 독려하며 더 큰 도전을 제시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됩니다.
1절므낫세 지파를 위하여 제비뽑은 것은 이러하니라 므낫세는 요셉의 장자이었고 므낫세의 장자 마길은 길르앗의 아비라 그는 무사이어서 길르앗과 바산을 얻었으므로
2절므낫세의 남은 자손을 위하여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는데 그들은 곧 아비에셀의 자손과 헬렉의 자손과 아스리엘의 자손과 세겜의 자손과 헤벨의 자손과 스미다의 자손이니 그들의 가족대로 요셉의 아들 므낫세의 남 자손이며
3절헤벨의 아들 길르앗의 손자 마길의 증손 므낫세의 현손 슬로브핫은 아들이 없고 딸뿐이요 그 딸들의 이름은 말라와 노아와 호글라와 밀가와 디르사라
4절그들이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방백들 앞에 나아와서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사 우리 형제 중에서 우리에게 기업을 주라 하셨다 하매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그들에게 기업을 그 아비 형제 중에서 주므로
5절요단 동편 길르앗과 바산 외에 므낫세에게 열 분깃이 돌아갔으니
6절므낫세의 여손들이 그 남 자손 중에서 기업을 얻은 까닭이었으며 길르앗 땅은 므낫세의 남은 자손에게 속하였더라
7절므낫세의 경계는 아셀에서부터 세겜 앞 믹므닷에 미치고 우편으로 가서 엔답부아 거민의 땅에 이르나니
8절답부아 땅은 므낫세에게 속하였으되 므낫세 경계에 있는 답부아 읍은 에브라임 자손에게 속하였으며
9절또 경계가 가나 시내로 내려가서 그 시내 남편에 이르나니 므낫세의 성읍 중에 이 성읍들은 에브라임에게 속하였으며 므낫세의 경계는 그 시내 북편이요 그 끝은 바다며
10절그 남편은 에브라임에 속하였고 북편은 므낫세에 속하였고 바다가 그 경계가 되었으며 그들의 땅의 북은 아셀에 미쳤고 동은 잇사갈에 미쳤으며
11절잇사갈과 아셀에도 므낫세의 소유가 있으니 곧 벧 스안과 그 향리와 이블르암과 그 향리와 돌의 거민과 그 향리요 또 엔돌 거민과 그 향리와 다아낙 거민과 그 향리와 므깃도 거민과 그 향리들 세 높은 곳이라
12절그러나 므낫세 자손이 그 성읍들의 거민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사람이 결심하고 그 땅에 거하였더니
13절이스라엘 자손이 강성한 후에야 가나안 사람에게 사역을 시켰고 다 쫓아내지 아니하였더라
14절요셉 자손이 여호수아에게 말하여 가로되 여호와께서 지금까지 내게 복을 주시므로 내가 큰 민족이 되었거늘 당신이 나의 기업을 위하여 한 제비, 한 분깃으로만 내게 주심은 어찜이니이까
15절여호수아가 그들에게 이르되 네가 큰 민족이 되므로 에브라임 산지가 네게 너무 좁을진대 브리스 사람과 르바임 사람의 땅 삼림에 올라가서 스스로 개척하라
16절요셉 자손이 가로되 그 산지는 우리에게 넉넉지도 못하고 골짜기 땅에 거하는 가나안 사람에게는 벧 스안과 그 향리에 거하는 자든지 이스르엘 골짜기에 거하는 자든지 다 철병거가 있나이다
17절여호수아가 다시 요셉의 족속 곧 에브라임과 므낫세에게 일러 가로되 너는 큰 민족이요 큰 권능이 있은즉 한 분깃만 가질 것이 아니라
18절그 산지도 네 것이 되리니 비록 삼림이라도 네가 개척하라 그 끝까지 네 것이 되리라 가나안 사람이 비록 철병거를 가졌고 강할지라도 네가 능히 그를 쫓아내리라
주요 내용과 흐름
이 장은 약속의 땅이 실제로 분배되는 과정에서 신앙의 공동체가 다양한 상황과 요청,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슬로브핫의 딸들은 남성 후손이 없는 상황에서도 기업을 청구하는 주체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므낫세 지파가 모든 기업을 장악하지 못하고 가나안 족속이 여전히 남아있는 현실도 묘사됩니다. 요셉 자손이 그들의 분깃에 만족하지 않고 더 큰 것을 요구할 때, 여호수아는 그들의 믿음과 역량을 격려하여 적극적으로 도전하도록 이끕니다. 이로써 이스라엘 공동체가 약속의 땅을 차지하는 과정이 단순히 분배가 아니라, 신앙적 도전과 믿음의 실천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의 약속과 공동체의 순종: 약속하신 땅을 각 지파에게 분배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약속을 누리기 위해서는 순종과 믿음의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함을 본문이 강조합니다.
- 개인의 요청과 공동체의 지혜로운 수용: 슬로브핫 딸들의 요청에서 볼 수 있듯, 개인의 필요와 목소리도 공동체 안에서 존중받고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 삶의 유업: 나는 하나님께서 내 삶에 주신 약속 앞에서 어떤 자세로 임하고 있는가? 혹시 주저앉거나 포기하지는 않는지 돌아봅니다.
- 도전과 믿음: 현실의 상황이 어렵고 완전하지 않더라도, 믿음으로 도전하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삶이 필요한지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