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예레미야서 21장

말씀 개요

예레미야서 21장은 유다의 왕 시드기야가 바벨론의 침공을 맞아 예언자 예레미야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이 장은 유다 왕과 백성이 위기의 순간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또한 하나님의 응답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응답을 통해 회개의 기회와 하나님의 심판이 동시에 언급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1시드기야 왕이 말기야의 아들 바스훌과 제사장 마아세야의 아들 스바냐를 보내어 예레미야에게 말하기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우리를 치니 청컨대 너는 우리를 위하여 여호와께 간구하라 여호와께서 혹시 그 모든 기사로 우리를 도와 행하시면 그가 우리를 떠나리라 하던 그 때에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말씀이 임하니라

2(1절에 포함되어 있음)

3예레미야가 그들에게 대답하되 너희는 시드기야에게 이같이 말하라

4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너희가 성 밖에서 바벨론 왕과 또 너희를 에운 갈대아인과 싸우는 바 너희 손에 가진 병기를 내가 돌이킬 것이요 그들을 이 성중에 모아 들이리라

5내가 든 손과 강한 팔 곧 노와 분과 대노로 친히 너희를 칠 것이며

6내가 또 이 성에 거주하는 자를 사람이나 짐승이나 다 치리니 그들이 큰 염병에 죽으리라 하셨다 하라

7여호와께서 또 말씀하시되 그 후에 내가 유다 왕 시드기야와 그 신하들과 백성과 및 이 성읍에서 염병과 칼과 기근에서 남은 자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과 그 대적의 손과 그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붙이리니 그가 칼날로 그들을 치되 아끼지 아니하며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며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8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너는 또 백성에게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신다 하라 보라 내가 너희 앞에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두었노니

9이 성에 거주하는 자는 칼과 기근과 염병에 죽으려니와 너희를 에운 갈대아인에게 나가서 항복하는 자는 살리니 그의 생명은 노략한 것같이 얻으리라

10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나의 얼굴을 이 성으로 향함은 복을 위함이 아니요 화를 위함이라 이 성이 바벨론 왕의 손에 붙임이 될 것이요 그는 그것을 불로 사르리라

11유다 왕의 집에 대한 여호와의 말을 들으라

12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다윗의 집이여 너는 아침마다 공평히 판결하여 탈취당한 자를 압박자의 손에서 건지라 그리하지 아니하면 너희의 악행을 인하여 내 노가 불같이 일어나서 사르리니 능히 끌 자가 없으리라

13나 여호와가 이르노라 골짜기와 평원 반석의 거민아 보라 너희가 말하기를 누가 내려와서 우리를 치리요 누가 우리의 거처에 들어오리요 하거니와 나는 네 대적이라

14내가 너희 행위대로 벌할 것이요 내가 또 수풀에 불을 놓아 그 사경을 사르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본문의 흐름과 구조

구분내용
1-2절시드기야 왕이 예레미야에게 하나님의 뜻을 묻도록 사신을 보냄.
3-7절예레미야를 통한 하나님의 응답: 바벨론의 침공은 되돌릴 수 없으며, 유다는 반드시 심판을 맞게 됨.
8-10절생명의 길과 죽음의 길 제시: 항복하는 자는 살고, 맞서 싸우는 자는 멸망한다는 결단의 메시지.
11-14절유다 왕에게 직접 주시는 권면: 정의를 실천할 것, 그렇지 않을 경우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경고.

전체적인 의미와 메시지

  • 위기의 순간에 드러나는 신앙의 태도: 위기 상황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하지만, 마음 깊은 회개와 순종보다는 외적인 도움만을 구하는 모습이 드러납니다.
  • 하나님의 공의: 유다의 죄와 불의를 꾸짖으시며, 심판과 동시에 새로운 생명의 길도 제시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결단의 촉구: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선택의 기로에서 올바른 길을 선택할 것을 권면하십니다.

묵상포인트

  • 나는 위기의 순간 누구를 의지하고,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가?
  • 하나님의 음성 앞에서 머뭇거리기보다, 진심으로 순종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 현재 내 삶에서 하나님께서 제시하시는 '생명의 길'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보자.

나에게 적용해보기

  • 힘든 상황에서 내 방법만 고집하기보다는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길에 귀 기울이고자 결심해봅니다.
  • 작은 일상 속에서도 정의와 순종을 실천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점검하고 진실함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