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서 9장

에스더서 9장은 바사 왕국에서 유다인들이 정죄와 멸망의 위기에서 구원받는 절정의 순간을 기록합니다. 하만이 꾸몄던 유다인 학살의 음모가 오히려 반전되어, 유다인들이 자기들을 해하려 한 자들에게 맞서 자신들을 보호하는 장면이 중심이 됩니다. 또한 이를 기념하는 부림절의 기원이 이 장에서 상세히 설명됩니다.
1절아달월 곧 십이월 십삼일은 왕의 조명을 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이 저희를 제어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를 미워하는 자를 제어하게 된 그 날에
2절유다인들이 아하수에로 왕의 각 도, 각 읍에 모여 자기를 해하고자 하는 자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이 저희를 두려워하여 능히 막을 자가 없고
3절각 도 모든 관원과 대신과 방백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다 유다인을 도우니
4절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이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이 각 도에 퍼지더라
5절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6절유다인이 또 도성 수산에서 오백 인을 죽이고 멸하고
7절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8절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9절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10절곧 함므다다의 손자요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나 그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1절그 날에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왕께 고하니
12절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이 도성 수산에서 이미 오백 인을 죽이고 멸하고 또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니 왕의 다른 도에서는 어떠하였겠느뇨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 또한 시행하겠노라
13절에스더가 가로되 왕이 만일 선히 여기시거든 수산에 거하는 유다인으로 내일도 오늘날 조서대로 행하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달게 하소서
14절왕이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달리니라
15절아달월 십사일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또 삼백 인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그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16절왕의 각 도에 있는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를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인을 도륙하되 그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7절아달월 십삼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십사일에 쉬며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18절수산에 거한 유다인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였고 십오일에 쉬며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19절그러므로 촌촌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 고을에 거하는 자들이 아달월 십사일로 경절을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더라
20절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의 각 도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무론 원근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절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22절이 달 이 날에 유다인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23절유다인이 자기들의 이미 시작한 대로 또는 모르드개의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절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저희를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절에스더가 왕의 앞에 나아감을 인하여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 머리에 돌려 보내어 하만과 그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절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좇아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당한 것을 인하여
27절뜻을 정하고 자기와 자손과 자기와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한 정기에 이 두 날을 연하여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절각 도,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 자손 중에서도 기념함이 폐하지 않게 하였더라
29절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이 지키게 하되
30절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일백이십칠 도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절정한 기한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의 명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을 인하여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32절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히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구조와 전개
- 1–5절: 유다인을 해하려던 날(아달월 13일)이 오히려 유다인들이 원수들을 제압하는 날로 바뀜
- 6–19절: 수산 성과 지방에서 일어난 일, 유다인들이 자신을 대적하는 자들을 처벌함
- 20–32절: 유다인들이 구원을 기념하여 부림절을 지키기로 결정함 및 그 의미와 규례를 정함
주요 의미
이 장은 '운명'처럼 정해진 파멸이 정반대로 뒤바뀌는 사건을 통해, 모든 상황 속에서 새로운 희망의 길이 열릴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유다인들은 죽음의 위기에서 집단적으로 연대하여 자신들과 다음 세대를 지키고, 이 날을 영원히 기억하는 절기로 삼습니다. 이로써 집단의 기억과 공동체성을 이어가는 중요한 신앙의 유산이 됩니다.
묵상포인트
- 절망이 희망으로 바뀔 수 있는 하나님의 역전의 섭리를 돌아봅니다.
- 집단의 구원, 공동체의 연대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는 삶의 지혜를 묵상해봅니다.
- 구원의 기쁨을 어떤 방식으로 삶 속에 기념하고 있는지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 삶의 고난과 위기에서 하나님께서 예기치 않은 돌파구를 마련하셨던 순간을 다시 떠올려 봅니다.
- 공동체 속에서 어려움 당하는 이웃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연대하며 도울 수 있는 용기를 품습니다.
- 큰 은혜와 기쁨을 경험했을 때, 그 기억을 나만의 방식으로 기념하고 감사의 실천으로 옮길 방법을 찾아보세요.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