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에스더서 7장

말씀 개요

에스더서 7장은 유다 백성의 운명이 달린 절정의 순간을 그리고 있습니다. 에스더 왕비가 마침내 자기 민족에 닥친 위협을 밝히며, 하만의 음모가 드러나고, 하만이 몰락하는 장면이 담겨 있습니다. 이 장은 에스더와 아하수에로 왕, 하만이 함께하는 두 번째 잔치로 시작되며, 이 자리에서 에스더가 직접 자신의 소원을 밝힙니다. 에스더의 용기와 지혜, 그리고 우연처럼 보이지만 절묘하게 연결된 사건들은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손길을 느끼게 합니다.

1왕이 하만과 함께 또 왕후 에스더의 잔치에 나아가니라

2왕이 이 둘째 날 잔치에 술을 마실 때에 다시 에스더에게 물어 가로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 곧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시행하겠노라

3왕후 에스더가 대답하여 가로되 왕이여 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으며 왕이 선히 여기시거든 내 소청대로 내 생명을 내게 주시고 내 요구대로 내 민족을 내게 주소서

4나와 내 민족이 팔려서 죽임과 도륙함과 진멸함을 당하게 되었나이다 만일 우리가 노비로 팔렸더면 내가 잠잠하였으리이다 그래도 대적이 왕의 손해를 보충하지 못하였으리이다

5아하수에로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일러 가로되 감히 이런 일을 심중에 품은 자가 누구며 그가 어디 있느뇨

6에스더가 가로되 대적과 원수는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 하니 하만이 왕과 왕후 앞에서 두려워하거늘

7왕이 노하여 일어나서 잔치 자리를 떠나 왕궁 후원으로 들어가니라 하만이 일어서서 왕후 에스더에게 생명을 구하니 이는 왕이 자기에게 화를 내리기로 결심한 줄 앎이더라

8왕이 후원으로부터 잔치 자리에 돌아오니 하만이 에스더의 앉은 걸상 위에 엎드렸거늘 왕이 가로되 저가 궁중 내 앞에서 왕후를 강간까지 하고자 하는가 이 말이 왕의 입에서 나오매 무리가 하만의 얼굴을 싸더라

9왕을 모신 내시 중에 하르보나가 왕에게 아뢰되 왕을 위하여 충성된 말로 고발한 모르드개를 달고자 하여 하만이 고가 오십 규빗 되는 나무를 준비하였는데 이제 그 나무가 하만의 집에 섰나이다 왕이 가로되 하만을 그 나무에 달라 하매

10모르드개를 달고자 한 나무에 하만을 다니 왕의 노가 그치니라

주요 구조와 흐름

  • 1-4절: 왕과 하만이 에스더의 잔치에 참여하고, 왕이 거듭 에스더에게 소원을 묻는다. 에스더는 자신과 민족이 멸망 위기에 처했다고 밝힌다.
  • 5-6절: 왕이 그 범인이 누구인지 묻자, 에스더가 하만임을 고발한다.
  • 7-8절: 분노한 왕이 자리를 뜨자, 하만은 왕비 에스더에게 목숨을 구걸한다. 왕이 돌아와 하만이 에스더에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것처럼 보자, 하만을 향한 진노가 확정된다.
  • 9-10절: 하만을 위해 세워둔 장대(달릴 기구)에 하만이 오히려 달려 죽게 되고, 상황은 역전된다.

전체적인 의미와 특징

에스더서 7장에서는 구원의 전환점이 극적으로 펼쳐집니다. 에스더는 왕과 하만이 있는 자리에서 자신의 정체와 유다 민족의 위기를 밝힘으로써, 위기의 순간에 침묵하지 않기로 결단합니다. 또한 하만의 음모가 드러나며, 악이 결국 자기 꾀에 빠진다는 주제가 부각됩니다. 모든 사건은 우연처럼 전개되지만, 본문 곳곳에서 섭리의 손길을 엿볼 수 있습니다. 에스더의 지혜와 용기, 왕의 대응, 하만의 몰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나님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으나, 역사의 주관자이심을 느끼게 합니다.

묵상포인트

  • 어려움이 닥칠 때, 에스더처럼 용기와 지혜로 대처하는 자세는 무엇일까요?
  • 악이 득세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은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어떻게 믿고 살아갈 수 있을까요?
  • 이 장면에서 각 인물의 반응을 생각해 보면서, 나도 위기의 순간에 어떻게 행동할지 자문해 봅시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힘든 상황 속에서도 침묵해야 할 때와 말해야 할 때를 분별하며, 올바른 시기에 용기 내어 목소리를 낼 수 있기를 소망해봅시다.
  •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를 신뢰하며, 자신과 이웃을 위한 바른 선택을 고민해 보는 한 주가 되길 바랍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