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 27장

신명기 27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에 들어가 실행해야 할 중요한 율법의식과 축복과 저주의 선포를 담고 있습니다. 전체 구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1-8절: 율법을 기록하여 세우는 명령(돌 위에 율법을 새기고 제단을 쌓음)
- 9-10절: 순종의 요청(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임을 확인)
- 11-26절: 축복과 저주 선포(에발 산과 그리심 산에서 백성들이 응답)
1절모세가 이스라엘 장로들로 더불어 백성에게 명하여 가로되 내가 오늘날 너희에게 명하는 이 명령을 너희는 다 지킬지니라
2절너희가 요단을 건너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에 들어가는 날에 큰 돌들을 세우고 석회를 바르라
3절이미 건넌 후에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그 위에 기록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네가 들어가기를 네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말씀하신 대로 하리니
4절너희가 요단을 건너거든 내가 오늘날 너희에게 명하는 이 돌들을 에발 산에 세우고 그 위에 석회를 바를 것이며
5절또 거기서 네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단 곧 돌단을 쌓되 그것에 철기를 대지 말지니라
6절너는 다듬지 않은 돌로 네 하나님 여호와의 단을 쌓고 그 위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 번제를 드릴 것이며
7절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8절너는 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그 돌들 위에 명백히 기록할지니라
9절모세가 레위 제사장들로 더불어 온 이스라엘에게 고하여 가로되 이스라엘아 잠잠히 들으라 오늘날 네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백성이 되었으니
10절그런즉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복종하여 내가 오늘날 네게 명하는 그 명령과 규례를 행할지니라
11절모세가 당일에 백성에게 명하여 가로되
12절너희가 요단을 건넌 후에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잇사갈과 요셉과 베냐민은 백성을 축복하기 위하여 그리심 산에 서고
13절르우벤과 갓과 아셀과 스불론과 단과 납달리는 저주하기 위하여 에발 산에 서고
14절레위 사람은 큰 소리로 이스라엘 모든 사람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15절장색의 손으로 조각하였거나 부어 만든 우상은 여호와께 가증하니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아멘 할지니라
16절그 부모를 경홀히 여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17절그 이웃의 지계표를 옮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18절소경으로 길을 잃게 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19절객이나 고아나 과부의 송사를 억울케 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0절계모와 구합하는 자는 그 아비의 하체를 드러내었으니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1절무릇 짐승과 교합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2절그 자매 곧 그 아비의 딸이나 어미의 딸과 구합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3절장모와 구합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4절그 이웃을 암살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5절무죄자를 죽이려고 뇌물을 받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26절이 율법의 모든 말씀을 실행치 아니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아멘 할지니라
율법기록과 제단 의미
하나님께서는 가나안 입성 후 돌 위에 율법을 또렷하게 새기도록 하셨습니다(3절). 이는 율법의 변함없는 중요성과, 하나님의 말씀을 공동체 전체가 명백히 인식해야 함을 상징합니다. 또한, 돌로 제단을 쌓고 화목제와 번제를 드리게 하셨는데(5-7절), 이것은 율법적 순종이 단순 규칙 준수만이 아니라 예배와 관계, 그리고 감사의 마음과 함께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축복과 저주의 선포
모세는 백성들에게 축복과 저주를 선포하게 합니다(11-26절). 이들은 에발 산과 그리심 산에서 나뉘어 서서, 각각 저주와 축복을 응답합니다. 여기서 저주는 12가지 죄목들(우상숭배, 부모 경멸, 경계석 이동, 장애인 멸시, 부정한 행위 등)에 대한 것으로, 이러한 사회·도덕적 죄악에 대해 '모든 백성은 아멘'으로 화답합니다(15, 16절 등). 이 장면은 공동체 전체가 책임 있게 하나님의 뜻에 동의함을 강조합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의 말씀을 생활 가까이에 두고 반복하여 새기라는 명령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 공동체가 함께 '아멘'으로 화답하며 선포하는 신앙의 결단이 주는 힘과 책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하나님의 기준을 내 삶에 분명히 각인하고, 일상에서 반복하여 되새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내가 잘못한 일들에 대해 공동체 앞에서 인정하고, 다시 바른 길을 선택하려는 결단이 필요하지 않은지 돌아봅시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