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신명기 19장

말씀 개요

신명기 19장은 주로 도피성 제도공의로운 재판의 중요성, 그리고 위증에 관한 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서 정의로운 사회를 세우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구체적 지침을 제시합니다. 먼저 도피성에 대한 지침(1-13절), 다음으로 토지 경계에 대한 규칙(14절), 그리고 증인과 재판 행동 규정(15-21절)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열국을 멸절하시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땅을 네게 주시므로 네가 필경 그것을 얻고 그들의 각 성읍과 각 가옥에 거할 때에

2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신 땅 가운데서 세 성읍을 너를 위하여 구별하고

3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유업으로 주시는 땅의 전체를 삼구로 분하여 그 도로를 닦고 무릇 살인자를 그 성읍으로 도피케 하라

4살인자가 그리로 도피하여 살 만한 경위는 이러하니 곧 누구든지 본래 혐원이 없이 부지중에 그 이웃을 죽인 일,

5가령 사람이 그 이웃과 함께 벌목하러 삼림에 들어가서 손에 도끼를 들고 벌목하려고 찍을 때에 도끼가 자루에서 빠져 그 이웃을 맞춰 그로 죽게함 같은 것이라 이런 사람은 그 성읍 중 하나로 도피하여 생명을 보존할 것이니라

6그 사람이 그에게 본래 혐원이 없으니 죽이기에 합당치 아니하나 두렵건대 보수자의 마음이 뜨거워서 살인자를 따르는데 그 가는 길이 멀면 그를 따라 미쳐서 죽일까 하노라

7그러므로 내가 네게 명하기를 세 성읍을 너를 위하여 구별하라 하노라

8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열조에게 맹세하신 대로 네 지경을 넓혀 네 열조에게 주리라고 말씀하신 땅을 다 네게 주실 때

9또 네가 나의 오늘날 네게 명하는 이 모든 명령을 지켜 행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고 항상 그 길로 행할 때에는 이 셋 외에 세 성읍을 더하여

10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에서 무죄한 피를 흘림이 없게 하라 이같이 하면 그 피가 네게로 돌아가지 아니하리라

11그러나 만일 사람이 그 이웃을 미워하여 엎드려 그를 기다리다가 일어나 쳐서 그 생명을 상하여 죽게 하고 이 한 성읍으로 도피하거든

12그 본 성읍 장로들이 사람을 보내어 그를 거기서 잡아다가 보수자의 손에 넘겨 죽이게 할 것이라

13네 눈이 그를 긍휼히 보지 말고 무죄한 피 흘린 죄를 이스라엘에서 제하라 그리하면 네게 복이 있으리라

14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어 얻게 하시는 땅 곧 네 기업 된 소유의 땅에서 선인의 정한 네 이웃의 경계표를 이동하지 말지니라

15사람이 아무 악이든지 무릇 범한 죄는 한 증인으로만 정할 것이 아니요 두 증인의 입으로나 세 증인의 입으로 그 사건을 확정할 것이며

16만일 위증하는 자가 있어 아무 사람이 악을 행하였다 말함이 있으면

17그 논쟁하는 양방이 같이 하나님 앞에 나아가 당시 제사장과 재판장 앞에 설 것이요

18재판장은 자세히 사실하여 그 증인이 위증인이라 그 형제를 거짓으로 무함한 것이 판명되거든

19그가 그 형제에게 행하려고 꾀한 대로 그에게 행하여 너희 중에서 악을 제하라

20그리하면 그 남은 자들이 듣고 두려워하여 이 후부터는 이런 악을 너희 중에서 다시 행하지 아니하리라

21네 눈이 긍휼히 보지 말라 생명은 생명으로,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니라

도피성 제도의 목적(1-13절)

도피성은 고의가 아닌 실수로 사람을 죽인 자가 복수의 위험에서 생명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고의 살인실수에 의한 죽음을 구분함으로써 불필요한 피해와 보복을 막고, 공의와 자비가 조화를 이루는 사회적 장치를 보여줍니다. 도피성이 세워진 후에도, 요단 서편 땅이 확장될 경우 더 많은 도피성을 설치하라고 명령함으로써, 계속해서 정의와 인권을 보호하라는 하나님의 뜻을 드러냅니다.

토지 경계의 중요성(14절)

한 구절로 언급되는 이 규정은, 하나님께서 주신 땅의 소유와 경계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는 사회적 혼란과 다툼의 씨앗이 될 수 있는 사소한 불의조차 철저히 금지하고, 공동체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정직공동체적 배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순종하는 삶의 태도를 다시 한 번 일깨워줍니다.

위증과 공정한 재판(15-21절)

단 한 명의 증거만으로는 형벌을 확정할 수 없으며, 반드시 두세 증인의 증언이 필요함을 명확히 합니다. 또한 거짓 증인의 허위 진술에 대해서는 엄격한 처벌을 명령합니다. 이는 사회 정의 실현과 무고한 자 보호, 모두를 위한 원칙임을 보여줍니다. 잘못된 증언으로 타인에게 끼칠 수 있는 심각한 결과에 대한 경고와, 진실과 정의의 가치를 재차 강조합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께서 정의와 자비가 동시에 드러나는 공동체를 얼마나 주의 깊게 세우길 원하셨는지 묵상해 봅시다.
  • 사회 질서와 개개인의 생명을 얼마나 귀하게 여기시는지, 율법이 갖는 의미를 오늘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가 타인을 공정하게 대하고, 말과 행동에서 정직함을 지키고 있는지 돌아봅시다.
  • 나도 모르게 누군가를 오해하거나 쉽게 판단했는지, 또는 사소한 이익 때문에 경계를 넘은 적은 없었는지 삶을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집시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