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모스서 2장

말씀 개요

아모스서 2장은 먼저 이방 주변국들의 죄를 언급하며 시작해, 곧바로 유다와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 예고로 이어집니다. 1-3절은 모압의 죄와 그 결과에 대해 논하고, 4-5절에서는 유다의 율법을 저버린 죄, 6절 이후로는 북이스라엘이 범한 사회적·윤리적 타락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전체적으로 하나님의 심판이 단순히 외부 민족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에게도 동일하게 임하는 원칙을 보여줍니다.

1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모압의 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가 에돔 왕의 뼈를 불살라 회를 만들었음이라

2내가 모압에 불을 보내리니 그리욧 궁궐들을 사르리라 모압이 요란함과 외침과 나팔 소리 중에서 죽을 것이라

3내가 그 중에서 재판장을 멸하며 방백들을 저와 함께 죽이리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4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유다의 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여호와의 율법을 멸시하며 그 율례를 지키지 아니하고 그 열조의 따라가던 거짓 것에 미혹하였음이라

5내가 유다에 불을 보내리니 예루살렘의 궁궐들을 사르리라

6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이스라엘의 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은을 받고 의인을 팔며 신 한 켤레를 받고 궁핍한 자를 팔며

7가난한 자의 머리에 있는 티끌을 탐내며 겸손한 자의 길을 굽게 하며 부자가 한 젊은 여인에게 다녀서 나의 거룩한 이름을 더럽히며

8모든 단 옆에서 전당 잡은 옷 위에 누우며 저희 신의 전에서 벌금으로 얻은 포도주를 마심이니라

9내가 아모리 사람을 저희 앞에서 멸하였나니 그 키는 백향목 높이와 같고 강하기는 상수리나무 같으나 내가 그 위의 열매와 그 아래의 뿌리를 진멸하지 아니하였느냐

10내가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이끌어 내어 사십 년 동안 광야에서 인도하고 아모리 사람의 땅을 너희로 차지하게 하였고

11또 너희 아들 중에서 선지자를, 너희 청년 중에서 나시르 사람을 일으켰나니 이스라엘 자손들아 과연 그렇지 아니하냐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12그러나 너희가 나시르 사람으로 포도주를 마시게 하며 또 선지자에게 명하여 예언하지 말라 하였느니라

13곡식 단을 가득히 실은 수레가 흙을 누름같이 내가 너희 자리에 너희를 누르리니

14빨리 달음박질하는 자도 도망할 수 없으며 강한 자도 자기 힘을 낼 수 없으며 용사도 피할 수 없으며

15활을 가진 자도 설 수 없으며 발이 빠른 자도 피할 수 없으며 말 타는 자도 피할 수 없고

16용사 중에 굳센 자는 그 날에 벌거벗고야 도망하리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주요 내용 요약

  • 모압의 죄와 심판 (1-3절): 모압이 에돔 왕의 뼈를 불에 사른 사건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하나님의 응징을 선언합니다.
  • 유다의 죄와 심판 (4-5절): 유다는 하나님의 율법을 멸시하고, 그 조례를 지키지 않아 심판의 대상이 됩니다.
  • 이스라엘의 죄 상세 묘사 (6-16절): 사회적 약자 착취, 부정한 재판, 부도덕한 행위, 물질만능주의, 나실인 망각 등 다양한 죄목이 나열됩니다. 이는 백성들이 하나님이 주신 은혜를 저버렸음을 강조합니다.

전체적인 의미와 메시지

아모스서 2장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편파적이지 않으며, 모든 민족과 사람들에게 동일한 기준이 적용됨을 알 수 있게 합니다. 이방 민족 뿐 아니라,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는 유다와 이스라엘 또한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을 때는 심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결국 이는 겉모습이 아닌 내면의 신실함과 정의의 실천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합니다. 하나님은 외부의 범죄 뿐 아니라, 그의 백성의 삶과 마음 중심까지도 깊이 보신다는 메시지입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은 우리의 신앙적 지위나 이름이 아니라, 실제 삶의 정의와 공의를 얼마나 실천하는지에 관심이 있으심을 기억하자.
  • 외적인 신앙행위보다 내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예배임을 깨닫자.
  • 하나님의 심판은 어느 누구에게도 예외가 없다는 점을 늘 마음에 새기자.

나에게 적용해보기

  • 오늘 나는 내 삶에서 어떤 부분에 있어 하나님의 공의를 등한시한 적은 없는지 돌아봅시다.
  • 교회와 사회생활 속에서 약자를 돌아보고 정의롭게 행동하는 마음을 새롭게 다짐합시다.
  • 말씀을 단순히 듣고 흘려보내지 말고, 내 일상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습관을 만들어 갑시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