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20장

사무엘하 20장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란을 극복한 후에도 이스라엘 공동체 내에 분열과 긴장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이 장의 핵심은 스바(세바)의 반란 사건과 요압의 활약, 그리고 마지막엔 다윗 왕정의 행정 조직이 재정비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절마침 거기 난류 하나가 있으니 베냐민 사람 비그리의 아들 세바라 하는 자라 저가 나팔을 불며 가로되 우리는 다윗과 함께할 분의가 없으며 이새의 아들과 함께할 업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각각 장막으로 돌아가라 하매
2절이에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 좇기를 그치고 올라가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좇으나 유다 사람들은 왕에게 합하여 요단에서 예루살렘까지 좇으니라
3절다윗이 예루살렘 본궁에 이르러 전에 머물러 궁을 지키게 한 후궁 열 명을 잡아 별실에 가두고 먹을 것만 주고 더불어 동침치 아니하니 저희가 죽는 날까지 갇혀서 생과부로 지내니라
4절왕이 아마사에게 이르되 너는 나를 위하여 삼 일 내로 유다 사람을 소집하고 너도 여기 있으라
5절아마사가 유다 사람을 소집하러 가더니 왕의 정한 기한에 지체된지라
6절다윗이 이에 아비새에게 이르되 이제 비그리의 아들 세바가 압살롬보다 우리를 더 해하리니 너는 네 주의 신복들을 거느리고 쫓아가라 저가 견고한 성에 들어가서 우리들을 피할까 염려하노라 하매
7절요압을 좇는 자들과 그렛 사람들과 블렛 사람들과 모든 용사들이 다 아비새를 따라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쫓으려고 예루살렘에서 나와서
8절기브온 큰 바위 곁에 이르매 아마사가 맞으러 오니 때에 요압이 군복을 입고 띠를 띠고 집에 꽂은 칼을 허리에 매었는데 저가 행할 때에 칼이 빠져 떨어졌더라
9절요압이 아마사에게 이르되 형은 평안하뇨 하며 오른손으로 아마사의 수염을 잡고 그 입을 맞추려는 체하매
10절아마사가 요압의 손에 있는 칼은 주의치 아니한지라 요압이 칼로 그 배를 찌르매 그 창자가 땅에 흐르니 다시 치지 아니하여도 죽으니라 요압과 그 동생 아비새가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쫓을새
11절요압의 소년 중 하나가 아마사의 곁에 서서 가로되 요압을 좋아하는 자와 다윗을 위하는 자는 요압을 따르라 할 때에
12절아마사가 길 가운데 피 속에 굴어졌는지라 그 소년이 모든 백성의 섰는 것을 보고 아마사를 큰 길에서부터 밭으로 옮겼으나 거기 이르는 자도 다 멈추어 서는 것을 보고 옷을 그 위에 덮으니라
13절아마사를 큰 길에서 옮겨 가매 사람들이 다 요압을 따라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쫓아가니라
14절요압이 이스라엘 모든 지파 가운데 두루 행하여 아벨과 벧마아가와 베림 온 땅에 이르니 그 무리도 다 모여 저를 따르더라
15절이에 저희가 벧마아가 아벨로 가서 세바를 에우고 그 성읍을 향하여 해자 언덕 위에 토성을 쌓고 요압과 함께한 모든 백성이 성벽을 쳐서 헐고자 하더니
16절그 성에서 지혜로운 여인 하나가 외쳐 가로되 들을지어다 들을지어다 청컨대 너희는 요압에게 이르기를 이리로 가까이 오라 내가 네게 말하려 하노라 한다 하라
17절요압이 그 여인에게 가까이 가니 여인이 가로되 당신이 요압이니이까 대답하되 그러하다 여인이 저에게 이르되 여종의 말을 들으소서 대답하되 내가 들으리라
18절여인이 말하여 가로되 옛 사람들이 흔히 말하기를 아벨에 가서 물을 것이라 하고 그 일을 끝내었나이다
19절나는 이스라엘의 화평하고 충성된 자 중 하나이어늘 당신이 이스라엘 가운데 어미 같은 성을 멸하고자 하시는도다 어찌하여 당신이 여호와의 기업을 삼키고자 하시나이까
20절요압이 대답하여 가로되 결단코 그렇지 아니하다 결단코 그렇지 아니하다 삼키거나 멸하거나 하려 함이 아니니
21절그 일이 그러한 것이 아니니라 에브라임 산지 사람 비그리의 아들 세바라 하는 자가 손을 들어 왕 다윗을 대적하였나니 너희가 저만 내어 주면 내가 이 성읍에서 떠나가리라 여인이 요압에게 이르되 저의 머리를 성벽에서 당신에게 내어 던지리이다 하고
22절이에 여인이 그 지혜로 모든 백성에게 말하매 저희가 비그리의 아들 세바의 머리를 베어 요압에게 던진지라 이에 요압이 나팔을 불매 무리가 흩어져 성읍에서 물러나서 각기 장막으로 돌아가고 요압은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 왕에게 나아가니라
23절요압은 이스라엘 온 군대의 장관이 되고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는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의 장관이 되고
24절아도니람은 감역관이 되고 아힐룻의 아들 여호사밧은 사관이 되고
25절스와는 서기관이 되고 사독과 아비아달은 제사장이 되고
26절야일 사람 이라는 다윗의 대신이 되니라
장별 흐름 및 구조
- 스바의 반란(1-2절): 베냐민 지파의 스바가 자신을 따르는 무리를 모아 다윗을 대적합니다. 이스라엘과 유다 간의 갈등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며, 공동체의 분열을 상징합니다.
- 다윗의 대응(3-7절): 다윗은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뒤 후궁들을 별도의 집에 머물게 하며, 아마사에게 군사를 소집하도록 명령합니다.
- 요압의 지도력과 스바 추격(8-22절): 아마사가 요압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요압이 군대를 이끌고 스바를 추격합니다. 결국 스바는 아벨 성읍에서 죽임을 당하며 반란은 진압됩니다.
- 다윗 왕국의 행정 체계(23-26절): 왕국의 여러 관리와 관직이 정리되며, 왕정의 질서가 재확립됩니다.
사무엘하 20장의 전체적 의미
이 장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란을 수습한 직후임에도, 이스라엘 내부에 여전히 긴장이 가시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스바의 반란은 공동체 내 결속의 어려움, 권력구조의 불안정, 그리고 지도자들 간의 갈등(특히 요압과 아마사의 관계)이 낱낱이 드러나는 사건입니다. 그러나 마지막에는 분열과 혼란 속에서도 다윗이 왕으로서의 통치력을 회복하고, 행정조직을 안정시키는 모습을 통해 전체적인 안정을 지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묵상포인트
- 우리의 공동체나 사회 안에도 겉으로는 평온해 보여도 보이지 않는 갈등과 분열의 씨앗이 있을 수 있음을 생각해 봅니다.
- 갈등과 위기 상황 속에서 지도자의 대응과 선택의 중요성을 묵상합니다.
- 어려움 가운데서도 질서를 회복하고 본연의 사명을 다하는 모습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게 주어진 공동체(가정, 교회, 사회 등)에서 뜻하지 않은 갈등이나 위기가 올 때, 내가 맡은 역할과 책임을 다시 돌아봅니다.
- 분열보다는 화합, 혼란보다는 질서를 선택하며, 하나님의 뜻을 바르게 분별하는 자세를 갖도록 힘써야 함을 다짐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