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무엘하 10장

말씀 개요

사무엘하 10장은 다윗과 암몬 자손 사이에 일어난 갈등과 그 확산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다윗은 암몬 왕 나하스가 죽었을 때, 그의 아들에게 조의를 표하기 위해 사절단을 보내지만, 암몬 지도자들은 이를 악의적으로 해석하여 사절을 모욕합니다. 이로 인해 암몬은 아람과 동맹을 맺고 이스라엘과 전쟁을 준비하게 되고, 요압이 군대를 이끌고 나가 지혜롭게 전투를 지휘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결국 전쟁은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나고, 암몬 및 아람 세력의 위세가 꺾입니다.

1그 후에 암몬 자손의 왕이 죽고 그 아들 하눈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

2다윗이 가로되 내가 나하스의 아들 하눈에게 은총을 베풀되 그 아비가 내게 은총을 베푼 것같이 하리라 하고 그 신복들을 명하여 그 아비 죽은 것을 조상하라 하니라 다윗의 신복들이 암몬 자손의 땅에 이르매

3암몬 자손의 방백들이 그 주 하눈에게 고하되 왕은 다윗이 조객을 보낸 것이 왕의 부친을 공경함인 줄로 여기시나이까 다윗이 그 신복을 보내어 이 성을 엿보고 탐지하여 함락시키고자 함이 아니니이까

4이에 하눈이 다윗의 신복들을 잡아 그 수염 절반을 깎고 그 의복의 중동 볼기까지 자르고 돌려 보내매

5혹이 이 일을 다윗에게 고하니라 그 사람들이 크게 부끄러워하므로 왕이 저희를 맞으러 보내어 이르기를 너희는 수염이 자라기까지 여리고에서 머물다가 돌아오라 하니라

6암몬 자손이 자기가 다윗에게 미움이 된 줄 알고 사람을 보내어 벧르홉 아람 사람과 소바 아람 사람의 보병 이만과 마아가 왕과 그 사람 일천과 돕 사람 일만 이천을 고용한지라

7다윗이 듣고 요압과 용사의 온 무리를 보내매

8암몬 자손은 나와서 성문 어귀에 진을 쳤고 소바와 르홉 아람 사람과 돕과 마아가 사람들은 따로 들에 있더라

9요압이 앞 뒤에 친 적진을 보고 이스라엘의 뺀 자 중에서 또 빼서 아람 사람을 대하여 진치고

10그 남은 무리는 그 아우 아비새의 수하에 붙여 암몬 자손을 대하여 진치게 하고

11가로되 만일 아람 사람이 나보다 강하면 네가 나를 돕고 만일 암몬 자손이 너보다 강하면 내가 가서 너를 도우리라

12너는 담대하라 우리가 우리 백성과 우리 하나님의 성읍들을 위하여 담대히 하자 여호와께서 선히 여기시는 대로 행하시기를 원하노라 하고

13요압과 그 종자가 아람 사람을 향하여 싸우려고 나아가니 저희가 그 앞에서 도망하고

14암몬 자손은 아람 사람의 도망함을 보고 저희도 아비새 앞에서 도망하여 성으로 들어간지라 요압이 암몬 자손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니라

15아람 사람이 자기가 이스라엘 앞에서 패하였음을 보고 다 모이매

16하닷에셀이 사람을 보내어 강 건너편에 있는 아람 사람을 불러 내매 저희가 헬람에 이르니 하닷에셀의 군대 장관 소박이 저희를 거느린지라

17혹이 다윗에게 고하매 저가 온 이스라엘을 모으고 요단을 건너 헬람에 이르매 아람 사람들이 다윗을 향하여 진을 치고 더불어 싸우더니

18아람 사람이 이스라엘 앞에서 도망한지라 다윗이 아람 병거 칠백 승의 사람과 마병 사만을 죽이고 또 그 군대 장관 소박을 치매 거기서 죽으니라

19하닷에셀에게 속한 왕들이 자기가 이스라엘 앞에서 패함을 보고 이스라엘과 화친하고 섬기니 이러므로 아람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암몬 자손을 돕지 아니하니라

등장인물과 전개

등장인물역할
다윗평화의 제스처로 사절단을 보냄
나하스의 아들(하눈)사절을 모욕하며 갈등을 유발
요압이스라엘 군대를 지휘함
아미새요압과 함께 아람과 맞서 싸움
암몬, 아람 연합군이스라엘과 대적함

이 장은 각 인물들의 선택이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이스라엘의 위기 대처 방식(요압의 전략, 다윗의 대응 등)을 드러냅니다.

장 전체의 의미와 메시지

  • 오해와 불신이 갈등의 씨앗이 됨: 다윗은 진심으로 호의를 전하지만, 암몬 사람들은 의심으로 받아들여 문제를 키웁니다.
  • 공동체적 지혜와 용기: 요압과 군사들은 두려움 속에서도 서로를 격려하며 협력하여 위기를 극복합니다.
  • 하나님의 도우심: 이스라엘이 수적으로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승리하는 모습은, 하나님의 개입과 도우심을 암시합니다.

묵상포인트

  • 타인의 의도를 쉽게 오해하거나, 확인 없이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태도가 나와 공동체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생각해 봅니다.
  • 공동체 안에서 서로 격려하고 힘을 모아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요압과 이스라엘 군사들의 모습을 통해 묵상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는 주변 사람들의 선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혹시 오해나 불신으로 답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볼 수 있습니다.
  • 어려운 상황 속에서 나도 요압과 같이 담대함과 지혜로 상황을 바라보고, 주변과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