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후서 3장

고린도후서 3장은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도직에 대한 방어와 복음의 사역 본질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바울은 자신과 동역자들이 사람들에게 편지 추천서를 받을 필요가 없는 이유를 설명하며, 고린도 교인들이 바로 그의 '추천서'임을 말합니다. 이어 모세의 율법과 복음, 즉 옛 언약과 새 언약의 차이를 대조하여, 새 언약의 사역이 더욱 영광스럽고 자유를 주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1절우리가 다시 자천하기를 시작하겠느냐 우리가 어찌 어떤 사람처럼 천거서를 너희에게 부치거나 혹 너희에게 맡거나 할 필요가 있느냐
2절너희가 우리의 편지라 우리 마음에 썼고 뭇 사람이 알고 읽는 바라
3절너희는 우리로 말미암아 나타난 그리스도의 편지니 이는 먹으로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살아 계신 하나님의 영으로 한 것이며 또 돌비에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육의 심비에 한 것이라
4절우리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을 향하여 이같은 확신이 있으니
5절우리가 무슨 일이든지 우리에게서 난 것같이 생각하여 스스로 만족할 것이 아니니 우리의 만족은 오직 하나님께로서 났느니라
6절저가 또 우리로 새 언약의 일꾼 되기에 만족케 하셨으니 의문으로 하지 아니하고 오직 영으로 함이니 의문은 죽이는 것이요 영은 살리는 것임이니라
7절돌에 써서 새긴 죽게 하는 의문의 직분도 영광이 있어 이스라엘 자손들이 모세의 얼굴의 없어질 영광을 인하여 그 얼굴을 주목하지 못하였거든
8절하물며 영의 직분이 더욱 영광이 있지 아니하겠느냐
9절정죄의 직분도 영광이 있은즉 의의 직분은 영광이 더욱 넘치리라
10절영광되었던 것이 더 큰 영광을 인하여 이에 영광될 것이 없으나
11절없어질 것도 영광으로 말미암았은즉 길이 있을 것은 더욱 영광 가운데 있느니라
12절우리가 이같은 소망이 있으므로 담대히 말하노니
13절우리는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들로 장차 없어질 것의 결국을 주목치 못하게 하려고 수건을 그 얼굴에 쓴 것같이 아니하노라
14절그러나 저희 마음이 완고하여 오늘까지라도 구약을 읽을 때에 그 수건이 오히려 벗어지지 아니하고 있으니 그 수건은 그리스도 안에서 없어질 것이라
15절오늘까지 모세의 글을 읽을 때에 수건이 오히려 그 마음을 덮었도다
16절그러나 언제든지 주께로 돌아가면 그 수건이 벗어지리라
17절주는 영이시니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함이 있느니라
18절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저와 같은 형상으로 화하여 영광으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본문의 구조와 흐름
- 1-3절: 추천서가 아니라, 성령으로 인쳐진 교인들의 삶이 곧 추천서임을 밝힘
- 4-6절: 바울의 사역이 하나님께로부터 난 것임을 강조, 율법과 영의 차이(글자는 죽이고 영은 살림)를 설명
- 7-11절: 옛 언약(돌에 새긴 문자)은 일시적이고 소멸될 영광이지만, 새 언약(성령의 사역)은 더욱 크고 영원한 영광임을 대조
- 12-18절: 모세가 얼굴을 가린 사건을 비유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참 자유와 변화가 있음을 증거
주요 주제 해설
바울은 이 장에서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외적 증명이나 추천이 아니라, 성령께서 각 사람의 마음에 새겨진 변화로 증명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옛 언약(율법)은 문자로, 새 언약(복음)은 성령으로 이루어진다는 대조를 통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새 생명과 자유, 그리고 변화의 영광을 역설합니다. 모세와 모세의 율법에 대한 언급을 통해, 옛 언약이 감추어졌던 비밀이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났고 믿는 자들은 점점 더 하나님을 닮아가게 된다는 소망을 제시합니다.
묵상포인트
- 내 삶에는 복음이 새겨진 '편지'로서의 흔적이 있는가?
- 율법적 신앙과 성령께 이끌리는 신앙의 차이를 어떻게 체험하고 있는가?
- 하나님의 영광은 어떤 모습으로 내 삶 가운데에 나타나는가?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의 신앙생활의 중심이 외적 증명이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내적 변화임을 되새겨봅니다.
- 율법적, 형식적 신앙에 머물러 있던 부분이 있다면 성령의 자유와 인도하심을 구합니다.
- 날마다 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가길 소망하며, 변화와 성장에 열린 마음을 가집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