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기하 3장

역대기하 3장은 솔로몬이 예루살렘에서 성전(여호와의 전)을 건축하기 시작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본장은 성전 건축의 위치, 시기, 구체적인 설계와 장식, 그리고 지성소와 두 기둥의 제작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역대상에서 이어진, 솔로몬의 통치 초기에 이스라엘 신앙의 중심인 성전 건립을 강렬하게 보여줍니다.
1절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그 곳은 전에 여호와께서 그 아비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다윗이 정한 곳이라
2절솔로몬이 왕위에 나아간 지 사 년 이월 초이일에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
3절솔로몬이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놓은 지대는 이러하니 옛적 재는 법대로 장이 육십 규빗이요 광이 이십 규빗이며
4절그 전 앞 낭실의 장이 전의 광과 같이 이십 규빗이요 고가 일백이십 규빗이니 안에는 정금으로 입혔으며
5절그 대전 천장은 잣나무로 만들고 또 정금으로 입히고 그 위에 종려나무와 사슬 형상을 새겼고
6절또 보석으로 전을 꾸며 화려하게 하였으니 그 금은 바르와임 금이며
7절또 금으로 전과 그 들보와 문지방과 벽과 문짝에 입히고 벽에 그룹들을 아로새겼더라
8절또 지성소를 지었으니 전 넓이대로 장이 이십 규빗이요 광도 이십 규빗이라 정금 육백 달란트로 입혔으니
9절못 중수가 오십 금 세겔이요 다락들도 금으로 입혔더라
10절지성소 안에 두 그룹의 형상을 새겨 만들어 금으로 입혔으니
11절두 그룹의 날개 길이가 모두 이십 규빗이라 좌편 그룹의 한 날개는 다섯 규빗이니 전 벽에 닿았고 그 한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우편 그룹의 날개에 닿았으며
12절우편 그룹의 한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전 벽에 닿았고 그 한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좌편 그룹의 날개에 닿았으니
13절이 두 그룹의 편 날개가 모두 이십 규빗이라 그 얼굴을 외소로 향하고 서 있으며
14절청색 자색 홍색실과 고운 베로 문장을 짓고 그 위에 그룹의 형상을 수놓았더라
15절전 앞에 기둥 둘을 만들었으니 고가 삼십오 규빗이요 각 기둥 꼭대기의 머리가 다섯 규빗이라
16절성소같이 사슬을 만들어 그 기둥 머리에 두르고 석류 일백 개를 만들어 사슬에 달았으며
17절그 두 기둥을 외소 앞에 세웠으니 좌편에 하나요 우편에 하나라 우편 것은 야긴이라 칭하고 좌편 것은 보아스라 칭하였더라
성전 건축의 위치와 의의
3장 1절은 성전의 위치가 '아라운의 타작마당, 모리아 산'임을 밝힙니다. 이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친 곳이자, 다윗이 여호와께 제단을 쌓았던 곳으로서, 특별한 신앙적 전통과 역사적 의미가 담깁니다. 이 장소 선정은 이스라엘 신앙의 연속성과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성전의 설계와 장식
- 성전은 길이와 폭, 높이가 구체적으로 언급되며(2-4절), 내부에는 순금으로 입힌 다양한 장식과 석류, 감람나무로 만든 그룹(천사)들이 세워집니다.
- 앗시리아・페니키아 건축 요소들이 조화롭게 등장하는데, 이는 당대 문화와 예술의 발전상을 반영합니다.
- 강조점은 오직 하나님만을 위한 장엄함과 정결함에 있습니다. 모든 장식과 재료에서 최고의 것이 사용되었다는 점입니다.
지성소와 두 기둥
지성소(지극히 거룩한 곳)는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으로, 내부에는 큰 그룹 둘이 금으로 입혀져 배치되고, 언약궤가 놓일 공간이 마련됩니다. 또한 성전 앞에는 야긴과 보아스라는 이름의 두 기둥이 세워집니다(15~17절). 이 두 기둥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굳게 세우시며, 힘을 주신다는 의미를 상징합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께 드리는 것, 그분을 위한 일에 우리가 어떤 태도와 마음으로 임하는지 돌아봅시다.
- 성전 건립의 모든 과정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영광을 드러내기 위함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 구체적인 장소와 계획, 최상의 재료가 사용된 점에서 우리 삶의 중심에 하나님을 모시고 있는지 묵상해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나의 마음이 하나님의 거처로 준비되고 있는지, 일상의 선택에서도 하나님께 최고의 것을 드리고 있는지 되돌아봅시다.
- 신앙생활의 중심이 겉모습이 아니라 내면의 진실함과 거룩함에 있는지 점검해봅시다.
- 하나님께서 내 삶의 터전을 어떻게 이끌어 오셨는지 감사하며, 앞으로도 하나님 중심의 삶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집시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