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기하 14장

역대기하 14장은 남유다의 왕 아사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본 장은 아사의 통치 초기에 있었던 종교 개혁과 하나님께 대한 신뢰, 그리고 외적(구스/에티오피아)의 침입에 대한 승리의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절아비야가 그 열조와 함께 자매 다윗 성에 장사되고 그 아들 아사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 그 시대에 그 땅이 십 년을 평안하니라
2절아사가 그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선과 정의를 행하여
3절이방 제단과 산당을 없이하고 주상을 훼파하며 아세라상을 찍고
4절유다 사람을 명하여 그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구하게 하며 그 율법과 명령을 행하게 하고
5절또 유다 모든 성읍에서 산당과 태양상을 없이하매 나라가 그 앞에서 평안함을 얻으니라
6절여호와께서 아사에게 평안을 주셨으므로 그 땅이 평안하여 여러 해 싸움이 없은지라 저가 견고한 성읍들을 유다에 건축하니라
7절아사가 일찌기 유다 사람에게 이르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찾았으므로 이 땅이 아직 우리 앞에 있나니 우리가 이 성읍들을 건축하고 그 주위에 성곽과 망대와 문과 빗장을 만들자 우리가 주를 찾았으므로 주께서 우리에게 사방의 평안을 주셨느니라 하고 이에 저희가 성읍을 형통하게 건축하였더라
8절아사의 군대는 유다 중에서 큰 방패와 창을 잡는 자가 삼십만이요 베냐민 중에서 작은 방패를 잡으며 활을 당기는 자가 이십팔만이라 다 큰 용사더라
9절구스 사람 세라가 저희를 치려하여 군사 백만과 병거 삼백 승을 거느리고 마레사에 이르매
10절아사가 마주 나아가서 마레사의 스바다 골짜기에 진치고
11절그 하나님 여호와께 부르짖어 가로되 여호와여 강한 자와 약한 자 사이에는 주밖에 도와 줄 이가 없사오니 우리 하나님 여호와여 우리를 도우소서 우리가 주를 의지하오며 주의 이름을 의탁하옵고 이 많은 무리를 치러 왔나이다 여호와여 주는 우리 하나님이시오니 원컨대 사람으로 주를 이기지 못하게 하옵소서 하였더니
12절여호와께서 구스 사람을 아사와 유다 사람 앞에서 쳐서 패하게 하시니 구스 사람이 도망하는지라
13절아사와 그 좇는 자가 구스 사람을 쫓아 그랄까지 이르매 이에 구스 사람이 엎드러지고 살아 남은 자가 없었으니 이는 여호와 앞에서와 그 군대 앞에서 패망하였음이라 노략한 물건이 심히 많았더라
14절여호와께서 그랄 사면 모든 성읍 백성을 두렵게 하시니 무리가 그 모든 성읍을 치고 그 가운데 있는 많은 물건을 노략하고
15절또 짐승 지키는 천막을 치고 양과 약대를 많이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더라
본문의 구조와 흐름
- 1-5절: 유다 왕국의 평안함이 언급되며, 아사 왕이 우상 숭배를 제거하고 하나님을 찾는 종교 개혁을 단행합니다.
- 6-8절: 나라가 평안한 동안 아사는 성읍을 견고히 하고 군대를 양성하며 방비에 힘씁니다.
- 9-15절: 구스 (에티오피아) 왕 세라가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왔으나, 아사는 전쟁 중 하나님께 간절히 부르짖어 도움을 청합니다. 하나님께서 이에 응답하셔서 유다에 승리를 안겨 주십니다.
전체적인 의미와 메시지
아사 왕의 통치 초반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 뜻을 따르려는 모습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우상들을 제거하고, 백성들에게 하나님만을 섬기도록 한 종교적 개혁은 남유다 왕국에 평안을 가져왔습니다. 또한 아사 왕이 구스의 위협 앞에서도 인간적인 수단이 아닌 하나님께 먼저 간구했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본문은 국가적인 위기 앞에서 신앙의 태도와 그 결실을 보여줍니다.
묵상포인트
- 나의 삶, 혹은 공동체에 어려움과 위기가 닥쳤을 때 먼저 하나님을 찾고 의지하는 태도가 있는지 점검해 보세요.
- 아사 왕처럼 평안할 때도 경계를 늦추지 않고 신앙을 지키고, 삶을 정돈하는 연습이 왜 중요한지 생각해 보세요.
나에게 적용해보기
- 매일의 삶 가운데 우상처럼 자리 잡은 것(습관, 생각, 태도 등)이 있다면, 그것을 내려놓고 하나님 중심으로 돌아가는 결단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묵상해봅시다.
- 큰 어려움 앞에서 스스로 해결하려 하기보다, 먼저 기도와 말씀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묻는 영적인 습관을 세워가겠습니다.
[ 광고 ]